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한국인 최초, 아시아 여성 최초 노벨문학상이란 기념비적인 사건인데요. <br> <br>한강 작가가 노벨의 선택을 받은 이유는 뭔지, 아는 기자와 알아봅니다. <br><br>문화스포츠부 이현용 차장, <br><br>Q1. 노벨 위원회의 선정 이유부터 짚어볼까요?<br><br>스웨덴 한림원 설명인데요. <br> <br>"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의 삶의 연약함을 드러낸 강렬한 시적 산문"이라는 평가입니다.<br><br>이전에도 한강 작가의 작품들은 이런 평을 받아왔습니다. <br> <br>'섬세한 감수성' '치밀한 문장' '역사적 아픔 위로', 이번 노벨상 선정 이유와 다르지 않습니다.<br><br>Q2. 실제 작품을 들여다보면 어떤 독특한 문장이 있던가요?<br> <br>네, 예를 들어볼까요. <br><br>5.18 광주민주화운동을 다룬 이야기, '소년이 온다' 속 문장인데요. <br> <br>"우리의 시간은 '저녁'이 되었다"는 비유로, 남겨진 자들의 절망을 함축적으로 표현했습니다.<br> <br>한국 현대사의 아픔이지만, 인류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게 표현하고 전달하는 겁니다. <br><br>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'채식주의자' 역시,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로 시작해, 간결한 문체로 쉽게 읽히게 주제를 전하고 있습니다.<br><br>Q3. 이렇게 좋은 문장, 좋은 소설이지만, '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'라는 말처럼 심사단에게 읽혀야 하는 거 잖아요?<br> <br>잠시 준비한 그래픽 보시면요. <br><br>스웨덴 한림원의 후보 선정 일정인데요. <br> <br>본격 심사 전 공인된 전문가들의 추천을 받는데 그러려면 세계인들에게 두루 읽혀야 하는 겁니다.<br><br>Q4. 번역이 중요하겠군요?<br> <br>한글의 미묘한 미적 감수성을 잘 전하기 위해선 그만큼 번역이 잘 되어야 합니다. <br><br>스웨덴에서도 4권의 책이 발간된 것을 포함해 한강의 소설은 28개 언어로 번역돼 전 세계 76종으로 출간됐습니다.<br><br>함께 작업한 영국의 번역가 데보라 스미스는 소주를 '코리안 보드카'가 아닌 소주 그대로, 형, 언니도 그대로 써 한국어의 맛을 살렸다는 평입니다.<br> <br>이런 번역이 가능해진 건 한국어와 한국 문화가 한류를 타고 세계화된 영향도 있습니다. <br><br>이는 세계 3대 문학상인 영국의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수상으로 이어졌고 노벨상 수상 후보로도 주목받게 된 계기가 됐습니다.<br><br>Q5. 그래도 한강 작가 수상, 전 세계가 놀랐는데요?<br> <br>예상 못 한 깜짝 발표였던 건 맞습니다. <br> <br>노벨 문학상은 워낙 비밀리에 선정되는 탓에 후보조차 사전에 알 수 없습니다. <br> <br>그러다 보니 베팅사이트를 참고하기도 합니다. <br><br>올해는 호주 소설가 제럴드 머네인이 배당률 4.5배로 가장 높았고요. <br> <br>중국 작가 찬쉐가 뒤를 이었습니다. <br> <br>일본의 베스트셀러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, 한국에선 고은 시인이 상위권에 랭크됐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여기에 한 작가는 없었습니다.<br><br>한국에선 고은 시인이 유력했던 만큼 한동안 이 시기가 되면 고은 시인 자택에 취재진이 대기하는 진풍경이 펼쳐지곤 했는데요.<br> <br>언젠가 한 작가도 노벨상을 탈 거라는 예상은 있었지만 비교적 젊은 나이인 50대였던 만큼 그 바람이 이렇게 빨리 이뤄질 줄은 아무도 몰랐던 겁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현용 기자 hy2@ichannela.com